125 |
가을학기_박승현_『논어』와 인간다움의 실현의 길
|
2276 |
124 |
가을학기_유재화_10강으로 완성하는 프랑스어 집중반
|
3129 |
123 |
가을학기_유재화_프랑스문학 원어강독: 파스칼 키냐르, 『세상의 모든 아침』(Tous les matins du Monde)
|
4193 |
122 |
가을학기_류종렬_베르그송 영혼론 원서 번역 및 강독
|
2089 |
121 |
가을학기_류종렬_“창조적 진화”강독
|
2140 |
120 |
가을학기_이동용_니체의 <이 사람을 보라>와 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마음
|
2207 |
119 |
가을학기_유재화_고독자 파스칼 키냐르와 침묵의 말
|
2167 |
118 |
가을학기_김진성_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세상을 분류하라
|
2165 |
117 |
가을학기_김경민_라틴어 6
|
2093 |
116 |
가을학기_임경석_경제고전읽기 I. 『국부론(상)』
|
2944 |
115 |
가을학기_김선하_혐오와 공포에 대한 연구: 크리스테바의 <공포의 권력> 읽기
|
2619 |
114 |
가을학기_유재화_프루스트가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 벤야민, 블랑쇼, 레비-스트로스, 들뢰즈, 바르트의 프루스트 읽기
|
2619 |
113 |
가을학기_김경민_희랍어 3
|
2026 |
112 |
가을학기_최소영_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이론-기술과 인간의 조우
|
2408 |
111 |
가을학기_조광제_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다시 읽기 1
|
6296 |
110 |
가을학기_박정하_<마르크스 탄생 200주년 기념 강좌 2> 마르크스 사회주의론의 알파와 오메가 : [공산당 선언]과 [고타강령 비판] 함께 읽기
|
2424 |
109 |
가을학기_이동용_릴케의 <두이노의 비가>와 죽음 연습
|
2232 |
108 |
가을학기_홍기숙_알랭 바디우의 『존재와 사건』
|
2051 |
107 |
가을학기_김은주_페미니즘 철학 I :여성성의 신화를 비판하고 여성들의 차이에 도달하다
|
2276 |
106 |
가을학기_양국현_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 ‘바라봄’의 철학(Philosophie des Sehens) 3
|
2137 |
105 |
가을학기_유혜령_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과 실존철학의 기초
|
3773 |
104 |
가을학기_박일준_혐오의 정치를 넘어서: 캐서린 켈러의 과정여성신학
|
2171 |
103 |
가을학기_김경민_희랍어 강독
|
1873 |
102 |
가을학기_김경민_라틴어 강독
|
1885 |
101 |
가을학기_서곡숙_영화 장르 입문
|
2102 |
100 |
가을학기_서승택_웹툰 미디어 내러티브 이해하기
|
2386 |
99 |
가을학기_노영덕_현대예술과 미학
|
2326 |
98 |
가을학기_이국배_매체, 가상, 그리고 사진
|
2117 |
97 |
여름학기_박정하_<마르크스 탄생 200주년 기념 강좌 1>: 마르크스 철학 입문- 엥겔스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 함께 읽기
|
2835 |
96 |
여름학기_유재화_마르그리트 뒤라스 <연인> 원문 강독
|
3292 |
95 |
여름학기_김인곤_서양철학사 입문 1-고대에서 헬레니즘까지
|
2821 |
94 |
여름학기_김경민_희랍어 강독
|
2155 |
93 |
여름학기_유재화_10강으로 완성하는 프랑스어 집중반
|
3270 |
92 |
여름학기_김경민_라틴어 5
|
2168 |
91 |
여름학기_김경민_희랍어 2
|
2114 |
90 |
여름학기_김경민_라틴강독
|
2089 |
89 |
여름학기_류종렬_<번역, 세미나> 베르그송의 강의록 “영혼론”
|
2167 |
88 |
여름학기_류종렬_베르그송의 웃음
|
2765 |
87 |
여름학기_이동용_초인의 언어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강독
|
2234 |
86 |
여름학기_이혁주_스피노자 철학의 근본 개념들(2)
|
29259 |
85 |
여름학기_김진성_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읽기
|
2190 |
84 |
여름학기_임경석_68운동과 신좌파 – H. 마르쿠제의 『일차원적 인간 : 선진 산업사회의 이데올로기 연구』
|
2166 |
83 |
여름학기_김선하_여성윤리 : 크리스테바의 <시적 언어의 혁명> 읽기
|
2304 |
82 |
여름학기_유재화_프루스트가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것들: 벤야민, 블랑쇼, 들뢰즈와 프루스트 읽기
|
3238 |
81 |
여름학기_이국배_매체로서의 언어
|
2126 |
80 |
여름학기_홍기숙_알랭 바디우의 『보편주의의 창시자 - 성 바울』
|
2103 |
79 |
여름학기_황희경_다시 만난 공자, 오래된 새 책 논어
|
2189 |
78 |
여름학기_이동용_쇼펜하우어, 돌이 별이 되는 철학
|
2172 |
77 |
여름학기_이상복_현대철학의 근본문제들
|
2624 |
76 |
여름학기_홍기숙_알랭 바디우의 『존재와 사건』
|
19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