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수 110
※수업 신청시 이름란에 성함(본명)과 소속을 필수로 적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수업 시작시 처음에 카메라를 켜고 들어와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강의는 zoom 실시간 강의로 진행됩니다. 모바일 또는 컴퓨터로 참여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의 글을 참고하여 수업 참여 부탁드립니다.
http://www.acaphilo.or.kr/xe/board_1/1602423
※ 수업 전 미리 ZOOM에 가입해주시기 바랍니다.
강좌제목 :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인간학 연습 (온라인 강의)
담당교수 : 유혜령
캐나다 앨버타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상학적·해석학적 질적 연구방법론과 아동의 교육적 실존 문제를 연구하며 강의하고 있다.
강의일시 : 목요일 오후 7시 ~ 10시
- 개강일 : 2020년 10월 15일
수강료
- 일반 : 300,000원
- 후원회원, 청소년 : 240,000원
강의소개
현상학적 방법으로 인간의 실존 문제를 분석한 Otto F. Bollnow의 『교육의 인간학』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탁월한 사례가 된다. 본 강의에서는 이 책에 직접 예시된 현상학적 방법론의 원리들과, 시간과 공간, 언어, 만남, 분위기, 위기 등의 실존 범주에 대한 분석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성찰을 연습한다.
순서 | 내용 |
---|---|
01강 | “사태 자체로” 돌아가는 인간학 |
02강 | 인간학의 방법론으로서의 구체적인 현상학적 원리들 |
03강 | 삶의 비연속적인 형식들(만남과 위기) |
04강 | 실존철학과 인간학 |
05강 | 집이라는 공간과 거주한다는 것의 의미 |
06강 | 현대 사회에서 고향 상실의 의미 |
07강 | 시간을 살며 희망한다는 것의 의미 |
08강 | 언어와 자기 형성 |
09강 | 현상학적 사례 논문 읽기 1 |
10강 | 현상학적 사례 논문 읽기 2 |
참고문헌
- 1) 교재: Bollnow, O. F. (1999/1971). 『교육의 인간학』 (오인탁·정혜영 역). 서울: 문음사.
- 2) 참고도서: Heidegger, M. (2015). 『철학에의 기여』(이선일 역). 서울: 새물결.
- ※ 이 두 도서는 절판 또는 품절되었으나 대학도서관에서 구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