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지난강좌
글 수 162
강좌제목 : 사진을 찍으면서 궁금했던 ‘예술적’ 질문들
담당교수 : 홍상현
- 현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겸임교수, 연세대학교 Post-Doc. 전문연구원
- 홍익대학교대학원 사진학과 박사(Ph.D., 미술학박사)
- 2016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사진도 예술입니까?』, 한양대학교출판부)
- 2009~2011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
- 2008 서울시립미술관 제1회 SeMA 신진작가 선정
강의일시 : 금요일 오후 4시 ~ 6시
- 개강일 : 2017년 3월 31일
수강료
- 일반 : 150,000원
- 후원회원, 청소년 : 120,000원
강의소개
이 강의는 사진에 대한 어느 정도의 경험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그 동안 사진을 접하면서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보았을 법한 질문들에 대해서 사진도구론적 입장에서 논의합니다. 하나의 조형예술언어로서의 사진이 갖는 특수한 표현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를 주된 내용으로, 사진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기본적인 원리와 사진기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법들, 하나의 조형예술언어로서 사진이 갖는 정당성, 그리고 사진을 바라볼 수 있는 몇몇 예술이론을 다룹니다.
순서 | 제목 |
---|---|
01강 | ‘사진’이라는 이름1: 필름과 디지털 |
02강 | 사진’이라는 이름2: 사진을 ‘찍다’ |
03강 | 바늘구멍 사진기와 사진이미지의 원리 |
04강 | 사진 숫자놀이: 셔터스피드, 조리개, 감도 ※ 카메라와 렌즈 등 보유하고 있는 사진장비 지참 |
05강 | 낯설게하기, 사진적 낯설음 |
06강 | 사진, 과학기술과 시詩적 언어의 사이 1 ※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의 사진 도구론적 해석 |
07강 | 사진, 과학기술과 시詩적 언어의 사이 2 ※ 조형예술의 언어적 기능, 詩的 시간 |
08강 | 상업사진과 예술사진 |
참고문헌
- 홍상현,『사진도 예술입니까?』, 한양대학교출판부, 2016.
- 돈 아이디,『기술철학』, 김성동 옮김, 철학과 현실사, 1993.
- 이은기 외, 『서양미술사전』, 미진사, 2015.
- ※ 참고문헌 외 기타 자료는 필요시 강의 PPT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