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수 215
강좌제목 : 베르그송: 시간관념의 역사 (오프라인 강의)
담당교수 : 류종렬
- 류종렬: 안동 출생, 베르그송 사상에서 생명, 즉 ‘불’의 내재성을, 또한 들뢰즈의 내재성을 탐구하며 양자를 연결하고자 한다. 번역으로는 『프랑스철학사』(로비네), 『르네의 일기(원제: 어느 정신분열증환자의 일기』(셰세이예), 『스피노자』(모로), 『파스칼』(공역), 『처음읽은 베르그송』(바르텔미-마돌), 『깊이읽는 베르그송』(장켈레비치)이 있고, 논문으로 「베르그송의 자유, 그리고 들뢰즈의 반복」, 「자아의 근원과 정체성에 관한 고찰」등 여러 편이 있다. [마실에서 천사흘밤(http://cafe.daum.net/milletune)참조].
강의일시 : 목요일 오후 7시 ~ 9시
- 개강일 : 2022년 1월 6일
수강료
- 일반 : 160,000원
- 후원회원, 청소년 : 128,000원
강의소개
이 강의는, 벩송이 꼴레쥬 드 프랑스에 행한 『시간관념의 역사, 강의 1902-1903』(2016년 출간)를 읽을 것입니다. 여기서는 『의식의 무매개적 자료들에 관한 시론(1889)』의 연장이며, 또한 앞의 저술에서 못다 이야기한 고대철학사와 근대 철학사에서 문제거리를 보여 줄 것이다. 벩송에서 시간, 즉 지속의 관점이 고대철학사에서 대한 성찰에서 나왔으며, 특히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분화에서 보았다. 그리고 우리는 근대 인식론은 고대형이상학의 시간과 공간을 영혼과 신체라는 관점으로 축소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알게 될 것이다.
순서 | 내용 |
---|---|
01강 | 시간과 공간의 문제: 형이상학적 관점. |
02강 | 안에서 인식과 밖에서 인식 : 절대적 인식 대 상대적 인식 |
03강 | 인식의 방법: 기호들(les signes)의 특성. |
04강 | 기호들과 행동: 개념적 표상과 지속 |
05강 | 고대철학에서 영원과 시간: 플라톤 |
06강 | 변화와 이동의 시간: 아리스토텔레스 |
07강 | 의식 이론에서 시간: 플로티노스 |
08강 | 근대철학에서, 기억이론의 역사로 |
교재
시간관념의 역사(Histoire de l’idée de temps), PUF, 2016, (강의록 제공)